전체 글 247

‘가장 높은 곳’ - 빅 히스토리

​ “가끔씩은 가장 높은 곳에 올라가서 전체를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빅히스토리(Big History)가 탄생하게 된 이유죠” ​빅히스토리의 창시자이자 호주 매쿼리대 사학과 교수인 데이비드 크리스천(David Christian) 박사가 2017년 6월 23일 블루스퀘어 카오스홀에서 개최된 ‘빅히스토리 토크콘서트’의 발제자로 참석하여 ‘세상 모든 것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이야기’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한 말이다. 빅히스토리란 138억 년 전 빅뱅으로부터 시작된 과거와 인류가 문명을 이루고 있는 현재,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다루는 종합학문이자 융합학문으로 제시되었다. 역사의 범위를 빅뱅으로 확장시킨 이 세계관은 빅뱅, 우주의 진화, 원소의 기원, 지구와 태양의 형성,..

밝은 빛을 띤 아기들이 태어난다

빛운영이 시작되기 전에는 천체, 사물, 사람이 저마다 자기의 고유한 밝기에 멈춰 있었다가 지난 2011년 4월 21일 13시 52분부터 태양에 빛운영을 하기 시작함에 따라 태양에 밝아진 진공빛이 사람, 사물, 천체에 전해지게 되었다. 빛운영을 계속한 것에 따라 신생아들도 빛운영으로 밝아진 빛을 띠고 태어나고 있다. ​ 다음은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새해 첫날 태어난 신생아들이다. 독자가 직관해보면, 빛운영이 시작되기 전 사진을 본 동안은 손가락의 힘이 약해져 있다가 빛운영이 시작된 후 점점 강해지기 시작해 빛운영한 지 10년이 된 2021년에 태어난 아기 사진을 본 동안은 손가락의 힘이 매우 강해져 있을 것이다. 빛운영의 진전에 따라 점점 더 밝아진다는 뜻이다. 2009년 = 2010년 = 2011..

시간과 공간에서 진공빛

​ ​ 고전역학에서는 시간은 시간이고 공간은 공간일 뿐으로 각각은 서로 독립적이다. 그러나 상대성이론에서는 시간과 공간이 서로 독립적이지 않고 서로 유기적으로 관계를 맺어진다. 필자가 특정한 시간에 빛운영 활동을 했는데 관찰할 수 있는 모든 공간에서 진공빛의 밝기 변동이 일어난 것을 볼 수 있는 것도 시간과 공간의 유기적으로 연계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지 않을까. 관심을 가져보면, 2011년 4월 21일 13시 52분 이전과 이후가 진공빛의 밝기에서 확연히 구분되는데, 이는 이 시각부터 필자가 태양에 빛운영하기 시작했고, 진공빛이 밝아지는 응답이 일어나서 지구 전역과 우주 전체에서 진공빛이 밝아졌기 때문이다. 공간적으로는, 지구는 여전히 태양계에 속한 행성이고, 태양계는 우리 은하에 속했고, 우리 은하의 ..

태양에서 진공빛이 확산한다

태양이 내는 빛은 모든 파장의 전자기파이며 중심의 고온고압 환경에서 네 개의 수소가 하나의 헬륨으로 융합되면서 발생하는 질량의 손실이 에너지로 변환된 것이다. 태양이 낸 이러한 빛과 열이 지구상에 생태계가 열릴 수 있게 했는데, 관심을 가져보면 태양이 낸 모든 파장의 전자기파에는 필자가 말하는 진공 성분의 파동, 곧 진공빛이 실려 있다. ‘별빛이 그 너머의 참빛의 파편을 전달한다’고 한 말이 우주의 태양들이 방출한 전파에 이 우주의 이전에서 유래한 진공 성분의 빛이 탑승해 있음을 알린 말인 것과 관계되는 이야기다. 우리 태양도 하나의 별이니 참빛을 전달하는 것이다. 그러나 빛운영 전 태양계 밖 뭇 천체들은 550경 밝기의 진공빛을 띠었는데 태양이 띤 진공빛은 밝기가 5에 불과했으니 지상을 비춘 햇빛에는 ..

태양은 진공빛을 중계한다

우주배경복사에서 진공 성분의 파동을 포집해 이것이 초고밀도 장(場)이 되도록 유도하는 작업을 10년이 넘게 계속한 결과 일찍이 자연계에 존재한 일이 없었던 전혀 새로운 밝기의 진공빛이 발현한 것이게 되었다. 이를테면 빛운영 전 태양계의 천체들이 띤 진공빛의 밝기가 태양 5, 지구 5, 달 4, 태양계의 다른 천체들 3, 2였을 때 태양계 밖의 은하수와 북극성은 진공빛의 밝기가 550경이었고, 다른 뭇 은하도 550경 밝기였다. 이는 빛운영 전에 촬영된 모든 천체 사진들에 기록되어 있는 사실이다. 그런데 우주배경복사에서 불러낸 진공 성분 파동을 극초고밀도가 되게 유도한 것을 태양에 전사하자 태양이 띤 진공빛이 밝아지는 변동을 일으키고 그 밝음이 지구 전역에 확산했다. 여기서 ‘태양’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

아리수

고구려 때는 한강을 아리수라고 불렀다. 크다는 의미의 한국어 '아리'와 물을 뜻하는 '수(水)'가 결합된 말이다. 서울특별시는 한강 물을 정수한 수돗물을 ‘아리수’라고 부른다. 수자원공사는 한강 본류의 팔당댐 물을 정수해 ‘미미르’와 ‘K water’라는 생수를 만든다. 태양에 빛운영한 것에 이어 한강에 대한 빛운영을 시작함에 따라 한강의 물은 지구상의 여느 강, 호수, 바닷물보다 더 밝은 진공빛을 띠게 되었고, 이에 따라 한강 물을 정수한 수돗물 ‘아리수’나 한강 물을 정수한 생수도 지구상의 여느 강, 호수, 바닷물보다 더 밝은 진공빛을 띠게 되었다. 2020-01-19. 태양에 빛운영 9년 및 한강에 빛운영 4년. 한강 물을 정수한 수돗물. 진공빛, 수치화할 수 없이 밝다. 좌측) 2016년 1월 2..

한강 명소 사진에서

-성산대교 성산대교는 서울시 마포구 망원동과 영등포구 양평동을 잇는 다리로 상큼한 오렌지 색깔 옷을 입고 있어 낮에 보아도 예쁘지만, 특히 야경이 아름다워서 성산대교의 야경을 찍은 사진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올라와 있는 사진 중 촬영일시가 명확한 사진에서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다. ‧ 태양에 빛운영하기 시작한 2011년 4월 21일 이전에 촬영한 사진은 모두 밝기 5의 진공빛을 띠었다. ‧ 태양에 빛운영하기 시작한 2011년 4월 21일 이후에 촬영한 사진은 시간이 흐를수록 ― 빛운영을 계속한 것에 따라 ― 진공빛이 점점 밝아졌다. ‧ 한강에 빛운영이 이루어진 2015년 10월 3일 0시 이후에 촬영한 사진은 진공빛이 더욱 크게 밝아졌다. 다음 사진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2008.03.15. 태양..

한강 발원지 검룡소

검룡소는 한강의 발원지이다. 강원도 태백시에 있는 금대봉 기슭의 검룡소에서 한강의 본류인 남한강이 발원해 전장 514km를 흐른다. 검룡소에 다녀온 사람들이 올린 사진이 많은데, 사진 중에 촬영일시가 명확한 사진에서 보면, 빛운영 전 ― 즉, 2011년 4월 21일 13시 52분 이전 ― 은 변함없이 항상 진공빛의 밝기가 5이다. 빛운영 전은 지구상의 모든 강, 호수, 바닷물, 지구 전체와 태양의 진공빛 밝기가 5였으니 당연하다. 필자가 빅뱅 이전에서 불러온 진공 성분의 빛을 태양에 전달해주는 빛운영 활동을 시작하자 태양이 띤 진공빛이 밝아지는 변동을 일으켰고, 태양에 밝아진 진공빛이 확산해 지구 전역에 전사되고, 검룡소의 물에도 전해졌다. 빛운영을 계속했기 때문에 태양이 띤 진공빛과 태양에서 확산하는 ..

한강에 빛운영

한강의 본류인 남한강은 태백산맥의 금대봉 정상부 북쪽 비탈에 있는 검룡소의 용틀임 폭포에서 시작해 514km를 굽이 돌아 흐르고, 제1지류인 북한강이 북한지역 금강군에 있는 옥밭봉에서 발원해 371km를 흐르며 강원도 춘천을 지나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에 이르러 남한강과 합수된다. 여기서 합수된 한강이 서울을 통과해 서해안과 만나는 경기도 김포시로 흘러나간다. 빛운영으로 진공빛이 밝아진 햇빛이 지구 전역을 비추면서 지구상의 모든 강, 호수, 바다의 진공빛도 함께 밝아지게 되었다. 당연히 한강 물이 띤 진공빛도 빛운영이 시작된 이후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밝아졌다. 그러던 중 한강에 대해 별도의 빛운영을 하게 되었다. 태양에 빛운영하는 것은 ‘모습 없는 하늘’(진공)이 비춘 광명인 성분이 진공인 빛이 ..

빛운영 시작한 날 전국에 해무리 떴다

해무리는 해를 둘러 원형 무지개가 나타난 광학 현상이다. 이것은 햇빛이 대기 속의 수증기에 비치어 해의 둘레에 빛깔이 둥글게 나타난 것으로, 영어로 'Solar halo'(태양후광)이다. ‘환일현상(幻日·Parhelion)’이라고도 하고, ‘무리해’로 불리기도 한다. 역사 속에서 해무리는 ‘결코 죽지않는다’라는 영원불멸의 상징으로 생각되었고, 상서로운 일이 있을 때 나타나는 구름이라 하여 경운(慶雲), 서운(瑞雲), 채운(彩雲)이라고도 불렸다. 현종 11년 11월 임술 일에 경운이 나타났다. [고려사 권제54] ..당시 해와 달이 유난히 빛나고 경운이 모였다. [성종실록 권제72] 요즘도 해무리가 나타났다는 기사가 실리곤 한다. 해무리가 상서롭게 느껴지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그런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