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은 미국 워싱턴주 킹 군의 태평양 연안 항구 도시이다. 이 도시는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프랭클린 피어스가 추장 시애틀의 편지에 감복한 나머지 이 지역을 '시애틀'이라고 이름 붙여서 오늘날의 <시애틀 市>가 되었다. 시애틀 추장(1786년경~1866년)은 오늘날에 워싱턴주가 된 땅에 살았던 아메리카 원주민 추장이다.
워싱턴의 대추장이 우리 땅을 사고 싶다는 전갈을 보내 왔다. 대추장은 우정과 선의의 말도 함께 보내 왔다. 그가 답례로 우리의 우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으므로 이는 그로서는 친절한 일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대들의 제안을 진지하게 고려해볼 것이다. 우리가 땅을 팔지 않으면 백인들은 총을 들고 와서 우리 땅을 빼앗을 것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대들은 어떻게 저 하늘이나 땅의 온기를 사고 팔 수 있는가? 우리로서는 이상한 생각이다. 공기의 신선함과 반짝이는 물을 우리가 소유하고 있지도 않은데 어떻게 그것들을 팔 수 있다는 말인가? 우리에게는 이 땅의 모든 부분이 거룩하다. 빛나는 솔잎, 모래 기슭, 어두운 숲속 안개, 많게 노래하는 온갖 벌레들, 이 모두가 우리의 기억과 경험 속에서는 신성한 것들이다. 나무속에 흐르는 수액은 우리 홍인(紅人-피부색이 붉은 인디언들을 가리킴)의 기억을 실어 나른다. 백인은 죽어서 별들 사이를 거닐 적에 그들이 태어난 곳을 망각해 버리지만, 우리가 죽어서도 이 아름다운 땅을 결코 잊지 못하는 것은 이것이 바로 우리 홍인의 어머니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땅의 한 부분이고 땅은 우리의 한 부분이다. 향기로운 꽃은 우리의 자매이다. 사슴, 말, 큰 독수리, 이들은 우리의 형제들이다. 바위산 꼭대기, 풀의 수액, 조랑말과 인간의 체온. 모두가 한 가족이다.
워싱턴의 대추장이 우리 땅을 사고 싶다는 전갈을 보내온 것은 곧 우리의 거의 모든 것을 달라는 것과 같다. 대추장은 우리만 따로 편히 살 수 있도록 한 장소를 마련해 주겠다고 한다. 그는 우리의 아버지가 되고 우리는 그의 자식이 되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 땅을 사겠다는 그대들의 제안을 잘 고려해 보겠지만, 우리에게 있어 이 땅은 거룩한 것이기에 그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개울과 강을 흐르는 이 반짝이는 물은 그저 물이 아니라 우리 조상들의 피다. 만약 우리가 이 땅을 팔 경우에는 이 땅이 거룩한 것이라는 걸 기억해 달라. 거룩할 뿐만 아니라, 호수의 맑은 물속에 비추인 신령스러운 모습들 하나하나가 우리네 삶의 일들과 기억들을 이야기해 주고 있음을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물결의 속삭임은 우리 아버지의 아버지가 내는 목소리이다. 강은 우리의 형제이고 우리의 갈증을 풀어 준다. 카누를 날라주고 자식들을 길러 준다. 만약 우리가 땅을 팔게 되면 저 강들이 우리와 그대들의 형제임을 잊지 말고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이제부터는 형제에게 하듯 강에게도 친절을 베풀어야 할 것이다.
아침 햇살 앞에서 산안개가 달아나듯이 홍인은 백인 앞에서 언제나 뒤로 물러났었지만 우리 조상들의 유골은 신성한 것이고 그들의 무덤은 거룩한 땅이다. 그러니 이 언덕, 이 나무, 이 땅덩어리는 우리에게 신성한 것이다.
백인은 우리의 방식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백인에게는 땅의 한 부분이 다른 부분과 똑같다. 그는 한밤중에 와서는 필요한 것을 빼앗아 가는 이방인이기 때문이다. 땅은 그에게 형제가 아니라 적이며, 그것을 다 정복했을 때 그는 또 다른 곳으로 나아간다. 백인은 거리낌 없이 아버지의 무덤을 내팽개치는가 하면 아이들에게서 땅을 빼앗고도 개의치 않는다. 아버지의 무덤과 아이들의 타고난 권리는 잊혀지고 만다. 백인은 어머니인 대지와 형제인 저 하늘을 마치 양이나 목걸이처럼 사고 약탈하고 팔 수 있는 것으로 대한다. 백인의 식욕은 땅을 삼켜 버리고 오직 사막만을 남겨 놓을 것이다.
모를 일이다. 우리의 방식은 그대들과는 다르다. 그대들의 도시의 모습은 홍인의 눈에 고통을 준다. 백인의 도시에는 조용한 곳이 없다. 홍인이 미개하고 무지하기 때문인지는 모르지만, 도시의 소음은 귀를 모욕하는 것만 같다.
쏙독새의 외로운 울음소리나 한밤중 연못가에서 들리는 개구리 소리를 들을 수가 없다면 삶에는 무엇이 남겠는가? 나는 홍인이라서 이해할 수가 없다. 인디언은 연못 위를 쏜살같이 달려가는 부드러운 바람소리와 한낮의 비에 씻긴 바람이 머금은 소나무 향기를 사랑한다. 만물이 숨결을 나누고 있으므로 공기는 홍인에게 소중한 것이다. 짐승들, 나무들, 그리고 인간은 같은 숨결을 나누고 산다.
백인은 자기가 숨 쉬는 공기를 느끼지 못하는 듯하다. 여러 날 동안 죽어가고 있는 사람처럼 그는 악취에 무감각하다. 그러나 만약 우리가 그대들에게 땅을 팔게 되더라도 우리에게 공기가 소중하고, 또한 공기는 그것이 지탱해 주는 온갖 생명과 영기를 나누어 갖는다는 사실을 그대들은 기억해야만 한다. 우리의 할아버지에게 첫 숨결을 베풀어준 바람은 그의 마지막 한숨도 받아 준다. 바람은 또한 우리의 아이들에게 생명의 기운을 준다. 우리가 땅을 팔게 되더라도 그곳을 잘 간수해서 백인들도 들꽃들로 향기로워진 바람을 맛볼 수 있는 신성한 곳으로 만들어야 한다.
<시애틀추장의 연설문> 부분.
이 연설문은 1854년 부족언어인 루슈트시드 말로 한 것을 그 자리에 있던 헨리 스미스의 기록한 것이다.
흑백사진 속 시애틀 추장의 모습은 평범한 시골 할머니처럼 보이고, 밝기 3천억의 진공빛을 띠고 있다. 빛운영 전 시절에는 흔히 보기 어려운 비범한 밝기이다.
사람의 모습에 나타나 있는 진공빛은 내면에서 뿜어져 나온 것이니 시애틀 추장의 연설문에서 볼 수 있는 정신과 세계관은 이 빛에서 일어난 생각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프랭클린 피어스 대통령의 사진 속 모습은 밝기 2억4천의 진공빛을 띠고 있다. 빛운영 전 당시 많은 사람이 밝기 3000만의 진공빛을 띠었던 것에 비하면 밝은 편이지만 시애틀 추장과는 비교된다. 피어스 대통령이 시에틀 추장의 글에 감동해 도시 이름을 ‘시에틀’로 짓게 되기까지에는 피어스 대통령이 뭔가 빛에 이끌린 감동을 했기 때문은 아닐까. 인생의 중심인 생명은 그 본성이 진공빛이어서 사람은 누구나 진공빛을 알아보는 본능이 있다. 진공빛이 자기를 아는 '성자신해(性自神解)'한 '영지(靈知)'가 이것이니 말이다. 독자가 피어스 대통령을 본 때보다 시에틀 추장을 본 동안에 독자 안에 내재한 진공빛이 다 강하게 공명하게 된다.
좌) 시애틀 추장. 사진이 띤 진공빛의 밝기, 3천억
우) 프랭클린 피어스. 사진이 띤 진공빛의 밝기, 2억4천만
'제 2권 : 빛의 확산 > 3부 1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이 머리로 나오면 지혜 가슴으로 나오면 사랑 (2) | 2022.08.12 |
---|---|
서번트 (0) | 2022.08.12 |
맞수들과 투쟁가들 (0) | 2022.08.12 |
이사도라 던컨과 최승희 (0) | 2022.08.12 |
유명인과 천재 (0)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