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의 아폴로 계획이 추진되면서 1969년에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한 후 1970년대 초반의 아폴로 17호까지 모두 여섯 차례 달 착륙이 이루어졌다. 이때는 모두 빛운영 전이었다. 그러므로 아폴로 계획에서 촬영된 모든 달착륙 사진은 진공빛의 밝기가 4이다. 빛운영하기 전은 알 수 없는 과거부터 항상 태양의 진공빛 밝기가 5, 지구 5, 달은 4였다. 그리고 이때 우리 은하와 뭇 은하들은 550경 밝기였다.
2011년 4월 21일 13시 52분부터 태양에 빛운영하기 시작한 것에 따라 태양이 띤 진공빛이 밝아지면서 지구와 달이 띤 진공빛도 함께 밝아졌고, 빛운영을 계속한 것에 따라 태양과 함께 지구와 달의 진공빛도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밝아졌다. 다음의 ‘지구돋이’ 사진은 2014년 2월 1일에 촬영한 것으로, NASA의 달 정찰 궤도탐사선 LRO가 달의 북극으로 다가서며 포착한 것이다. 이때는 빛운영한 지 2년 10개월이 된 때로, 이 사진이 띤 진공빛은 밝기가 330아승기(1056)이다.
2013년 12월 16일에 중국의 창허3호가 달에 갔다. 이때는 빛운영이 시작되고 2년 8개월이 된 때이이다. 그런데 창허3호가 달에 간 때는 NASA의 달 정찰 궤도탐사선 LRO가 활동한 때보다 수개월 전인데, LRO의 ‘지구돋이’ 사진이 띤 진공빛은 밝기가 330아승기(1056)인데, 창허3호의 달착륙 사진이 띤 진공빛은 420구(1032)로, LRO가 촬영한 사진이 훨씬 더 밝은 진공빛을 띠었다. 이것은 이 수개월 동안에 공생명 장치의 빛운영 용량을 키워서 훨씬 더 고밀도의 진공빛을 출력해 태양에 전사했기 때문이다.

1969년 7월 20. 빛운영 전. 달의 ‘고요의 바다’에 착륙한 아폴로 11호의 휴스턴 이글호.
진공빛의 밝기, 달 4 / 태양 5

1971년 7월 30일. 빛운영 전. 아폴로 15호의 달착륙선.
진공빛의 밝기, 4

1972년 12월 7일. 빛운영 전. 아폴로 17호의 월면차가 달 표면을 탐사증이다.
진공빛의 밝기, 4
2013년 12월 16일 중국의 달착륙선 창허3호가 달에 착륙하였다. 중국은 러시아 ·미국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달 표면에 월면차를 성공리에 착륙시킨 나라가 되었다.

2013년 12월 16일. 태양에 빛운영 2년 8개월. 달 표면을 탐사하는 창허3호의 월면차.
진공빛의 밝기, 420구(1032)

2014년 2월 1일. 태양에 빛운영 2년 10개월. NASA의 달 정찰 궤도탐사선 LRO가 달의 북극으로 다가서며 포착한 21세기의 첫 ‘지구돋이’ 사진.
진공빛의 밝기, 330아승기(1056)

2019년 1월 3일. 태양에 빛운영 8년. 중국 창어4호가 달 뒷면의 남극에 착륙했다.
진공빛, 수치화할 수 없이 밝다.
'제 2권 : 빛의 확산 > 1부 1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가 밝아진 모습 (0) | 2022.08.06 |
---|---|
48가지 색깔의 보름달 (0) | 2022.08.06 |
일식 사진 (0) | 2022.08.06 |
우주정거장(ISS)의 사진 (0) | 2022.08.06 |
기상 위성의 태풍 사진 (0) | 2022.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