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귀리 2

1부 서문

1989년, 최초의 우주배경복사 관측 위성 COBE가 활동해 하늘의 모든 방향에서 오는 우주배경복사를 2년 동안 수집해 이 복사가 우주에 분포한 것을 표시한 지도를 작성했다. 이 지도는 우주배경복사가 우주에 분포한 것에 밀도 편차가 있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지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보다 1000분의 1도 정도 온도가 높은 지역이다. 우주의 기원을 연구하는 천문과학자들은 이 온도가 높은 지역이 중력으로 물질을 끌어당겨서 밀도가 더욱 높아지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오늘날 우리가 보는 우주의 구조물들이 형성되었다고 해석한다. 우주배경복사 지도는 인류가 자기 자신에게 '이 우주가 어떻게 생겨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한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지도의 완성을 발표하는 기자회..

이야기를 시작하며 / 축하 말씀

이야기를 시작하며 광학망원경으로 관찰한 우주는 빈 어둠뿐이지만 전파망원경을 통해 관찰하면 별이나 은하와 관련이 없는 배경복사가 우주의 모든 방향으로부터 균일하게 뿜어져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주배경복사(宇宙背景輻射, 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라고 부르는 이 복사는 138억 년 전 우주 초기의 뜨거운 고밀도 상태에서 뿜어져 나온 빛이 오늘날에 관측되는 것으로, 과학자들은 이 복사의 존재를 1964년에 처음 발견했다. 이 복사는 이 우주가 발생하고 진화한 과정을 설명해 주는, 우주의 기원에 관한 실마리를 간직한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필자는 이 복사가 진공 성분의 빛을 함유해 가진 것에 주목했다. 이 진공 성분 빛은 ‘별빛이 그 너머의 참빛의 파편을 전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