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명상의 방법과 의의 2

광명송

- 여정의 시작 필자가 지난 2013년에 한국정신과학학회 제40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 은 2011년 4월 21일 13시 52분부터 빛운영을 시작해 2013년 10월까지 수행한 상황을 소개한 것이다. 이어, 2015년에 동학회 제43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는 빛운영으로 천지와 사람에 진공빛이 밝아진 새로운 빛환경이 된 것에 따라 개인이 자기 안의 빛을 깨우고 천지 환경에 밝아진 빛과 소통하게 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한 것인데, 이 글에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광명송을 만든 것에 대해 소개한 것이 있다. 광명송(光明頌)은 빛의 노래라 이름한 것이다. 광명송의 가사로 채택해 놓은 문구나 단어를 생각하거나 말하거나 글로 쓰면 그렇게 한 사람에서 진공빛이 밝아지는 응답이 일어나..

태양 마음 과학

사람들이 빛을 알지 못하고 관심이 없는 것은 사람 안의 빛이 밝지 않은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지구를 포함해 태양계가 띤 진공빛의 밝기가 5에 불과한 심각한 우주적 무명 중에 위치하여 있었던 것과 밀접히 관계된다고 필자는 보고 있다. 자연을 이룬 요소들은 상보적이어서 환경이 무명하면 그곳의 사람과 사물도 무명하고, 반대로 사람과 사물이 밝으면 환경도 함께 밝아진다. ​빛이 내재했어도 그 빛에 무관심하면 빛으로부터 아무런 영향도 받지 못하게 된다. 빛에 관심 갖지 않고 세상의 상식이나 관습을 따라가곤 하면 안의 빛이 깨어나 빛의 일을 할 기회를 얻지 못하게 되고, 빛운영에 영향받아 밝은 빛을 띠게 되었어도 빛에 무관심하기만 하면 빛의 생명 활동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런 상황은 마치 손님이 왔는데 손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