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40

이웃 별 알파 센타우리

​ ​ 알파 센타우리는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이웃 별이다. 알파 센타우리 A와 알파 센타우리 B 그리고 프록시마까지 3개의 항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며, 지구에서 4.37광년~4.22광년 거리에 있다. 알파 센타우리는 훗날 인류가 태양계 너머로 갈 수 있게 되면 아마 가장 먼저 가보게 될 곳으로 꼽힌 것이다. 태양과 그 성질도 비슷해 이 지역 행성에 생명이 있거나 인간이 가서 살 수 있으리라고 예상한 천문학자도 있다. ​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이웃이라지만 사실은 만만치 않은 거리다. 알파 센타우리가 우주적인 기준으로 얼마나 가까운가 하면, 비유를 위해 1광년을 4미터의 비율로 환산하면 안드로메다은하는 지구 반대편, 우리 은하 반대편은 대략 서울-부산 거리,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알파 센타우리는 아파트 옆집..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기도 하고, 정확한 주기 때문에 선사시대 때부터 인간의 관심을 끈 별이다. 시리우스는 겨울철 남쪽 밤하늘에 나지막이 떠 유난히 반짝이는 별이다. 이 별은 일정한 계절 동안 모습을 감추었다가 어느 날 문득 동쪽 하늘에 떠오르는데, 그 주기가 정확히 365일에 해당한다. 지상에서 육안에 보이는 2,000여 개의 별 가운데 365일 (365.25일)이라는 주기를 가진 별은 이 별뿐이다. 그래서 고대 이집트인들은 나일강의 주기적인 범람을 예방하기 위해 일찍부터 천체의 운동에 주목했다. 그들은 이른 새벽, 동쪽 하늘에서 시리우스가 지평선에 나타나는 때가 되면 나일강의 범람이 시작된다는 것을 알았고, 시리우스가 같은 곳에서 다시 떠오를 때까지를 1년으로 하는 고대 이집트 태양력을..

플레이아데스

​ ​ 플레이아데스성단은 지구에서 440광년 떨어진 황소자리에 있다. 일곱 개의 반짝이는 별이 있는 것으로 보여서 칠자매 별이라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2000개가 넘는 별들로 구성되어 흩어져 있는 산개성단이다. 단순하고 엷은 비단 천 같은 안개의 구름에 싸인 것처럼 보인다. 플레이아데스도 인간 조상의 근원으로 신성시되고 인간을 올바른 삶으로 인도하는 지혜의 근원으로 추앙된 별자리였다. 이를테면, 북미 호피 인디언들은 이 성단을 자기 조상의 고향이라고 믿었고, 나바호 인디언 전설은 인간이 이 별로부터 지구에 왔다고 전한다. 페루의 잉카제국 이전 사람들의 신화에도 플레이아데스별에서 찾아온 신들의 이야기가 전해지고, 이집트 피라미드의 남쪽 통로 입구는 봄의 첫날 플레이아데스별이 보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동양에서..

북두칠성

북두칠성의 자루는 계절을 알려 주는 거대한 천문 시계다. 봄에 해가 지면 북두칠성의 자루는 동쪽을 가리킨다. 여름에 해가 지고 나면 남쪽을 가리키며, 가을에는 서쪽을, 겨울에는 북쪽을 가리킨다. 그래서 옛사람은 북두칠성의 자루가 향한 방향을 보고 철을 따졌다. 북두칠성을 시계와 달력처럼 사용했다는 것이다. ​ 한반도 주변에 고인돌 유적이 많이 분포해 있고 고인돌의 뚜껑돌에 북두칠성을 포함하는 하늘의 별자리가 새겨져 있다. 별을 바라보며 살다가 죽어서는 뚜겅돌 아래 칠성판에 누워 별로 돌아간다는 사상이었다. 한편, 그들 선사시대 사람들은 ‘별빛이 그 너머의 참빛의 파편을 전달한다’는 앎을 갖고 있었다. 별빛 그 자체는 전파 성분이지만 별빛의 안에는 모습 없는 하늘·하느님에서 비춰온 신성한 빛, 곧 진공 성..

북극성

북극성은 살짝 벗어나 있기는 하지만 거의 정확하게 하늘의 북극을 겨냥하는 별이다. 그래서 북극성만 찾으면 나침반, GPS가 없어도 방향을 잡을 수 있다. 북극성은 겉보기 등급이 2등급 정도여서 요즘처럼 뿌연 도시 하늘에서는 겨우 어렴풋하게 볼 수 있지만 과거에는 길을 잃었을 때 가장 먼저 찾아야 하는 별이었다. 천문학에서는 먼 별과 은하까지의 거리를 재는 지표가 되는 '세페이드 변광성' 중 가장 가까이 있는 별이다. 19세기까지도 북극성의 변광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1911년 천문학자 에즈나 헤르츠스프룽에 의해 북극성도 일정한 주기로 밝기가 변동하는 변광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우리는 북극성을 북쪽을 가리키는 하나의 별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별 세 개로 이루어진 삼중성계다. 북극성의 메인에 해당..

은하수

우리는 현재 빅뱅이 일어난 지 138억 년이 된 시공간에 위치하여 있고, 지구상의 어디서나 밤하늘에 은하수가 흐른 것을 보게 된다. 천구를 아치형으로 가로지르는 은하수의 흰빛의 흐릿한 띠 모양은 별들과 은하면 안에 있는 여러 물질에서 유래한 것으로 주로 전파 성분이고, 이 전파 성분은 진공빛을 함유해 가지고 있다. 은하수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화에서 유래했다. 그리스인과 로마인 모두 별빛 띠를 보고 우유의 강 같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리스인들은 하늘에 쏟은 것이 여신 헤라의 모유라고 믿었고, 로마 신화에 따르면 은하수는 그들의 여신 옵스의 모유였다. 다른 문화권에는 밤하늘에 별빛 띠에 관한 고유한 신화와 믿음이 있었다. 동아시아인들은 우리은하를 천국의 은빛 강이라고 부르고, 핀란드인과 에스토니아인은 새..

혜성이 띤 진공빛

혜성들은 태양계 외곽에 있는 오르트 구름(Oort cloud)에서 온다고 알려진다. 아이손 혜성(Comet ISON)도 오르트 구름을 탈출해 내태양계로 처녀비행한 보기 드문 천체였다. 이 혜성은 45억 년 전 태양계 형성 직후부터 얼어붙은 채 남아 원시 물질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서 태양계의 기원과 진화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를 모았다. 아이손 혜성은 2012년 9월 21일(빛운영 후 1년 5개월) 최초 발견되면서 혜성 핵의 지름이 2Km 정도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2013년 11월 28일(빛운영 후 2년 6개월)에 초속 650Km라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태양 표면에서 116.5만Km 떨어진 근일점을 통과했으며, 이후 섭씨 2700도에 달한 어마어마한 열기와 태..

해왕성이 띤 진공빛

​ ​ 태양계의 가장 외곽에 있는 8번째 행성인 해왕성은 빛운영 전 촬영된 사진에서 보면 진공빛의 밝기는 2이다. 태양은 위대하고 지구는 푸른 보석처럼 아름답다. 그러나 진공빛의 차원을 보면 태양계는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짙은 우주적 무명 속에 위치하여 있었다. 빛운영 전에 촬영된 사진들에서 보면 당시 우리 은하나 북극성 등 먼 외계의 천체들이 띤 진공빛의 밝기는 550경인데 태양계는 진공빛의 밝기가 5 이하였으니 말이다. 이 무명한 상황은 태양계의 끝자락에까지 짙게 드리워져 있는 것이다. 그런데 2011년 4월 21일 태양에 빛운영하기 시작하면서 태양이 띤 진공빛이 점점 밝아졌고, 이 증대된 밝음이 해왕성에도 확산했다. 다음의 1989년 보이저2호가 찍은 사진과 1996년 8월 13일자 사진은 빛운영 전..

토성이 띤 진공빛

토성은 태양계의 여섯 번째 행성이고 태양계 내 행성 중에서 두 번째로 큰 크기이다. 빛운영 전에 촬영된 토성 사진에서 살펴지는 진공빛의 밝기는 2였다가 빛운영이 시작된 이후 점점 밝아지는 중이다. 1981년 8월 26일에 보이저 2호가 토성에 근접해 고리의 테를 두른 토성이 네 개의 위성을 거느린 모습을 보았다. 2013년 7월 19일에 카시니 탐사선이 1,200,000km 거리에 근접해 사진 촬영했다. 2020년 7월 24일 미항공우주국(NASA)이 허블우주망원경(HST)으로 2020년 7월 4일 촬영한 토성의 사진을 공개했다. 2020년 7월 4일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토성. 태양에 빛운영한 지 9년. 진공빛, 수치화할 수 없이 밝다. 2013년 10월 27일. 빛운영 2년 6개월. 진공빛의 밝기,..

목성이 띤 진공빛

​태양에서 뿜어져 나온 태양풍 입자는 태양에서 나온 직후는 초음속으로 날아 어느 정도까지는 그런 속도로 진행하다가 태양권에 다다르게 되면 성간 매질의 방해로 인해 속도가 아음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NASA의 보이저1호는 이 태양권 지역을 2004년 12월에 통과하여 별과 별 사이의 우주로 나갔다. 보이저1호와 2호는 성간 우주로 나가기 전에 태양계의 거의 끝자락 공간을 통과하면서 목성 근처를 지나갔다. ​파이오니어 10호도 1973년 12월 4일 최초로 목성에 도달하여 목성에 13만km 이내로 접근해 사진을 지구로 보내주었다. 이때는 빛운영 시작 전이고, 빛운영 전 당시 목성의 진공빛 밝기는 2였다. 거대 기체 행성인 목성에는 가장 크고 오래 지속된 폭풍계 중 하나인 대적점(GRS)이 있다. 이 대적점은..